본문 바로가기

평생교육

사회학의 탄생과 발달-고전사회학의 이해-

사회학의 탄생과 발달

-고전사회학의 이해-

 

 

(1) 콩트(Comte,1798~1857)와 실증주의

사회학의 창시자

- 프랑스 유토피아 사회주의자생시몽의 비서

- 실증철학 강의(6, 1830~1842)

- 자연과학적, 경험적 연구 방법을 사회에 적용해 사회적 법칙 탐구

사회학을 사회정학(social statics)과 사회동학(social dynamics)으로 구분

- 사회정학:사회동학과 달리 사회질서와 안정을 탐구. 사회를 생물유기체의 구조에 비유하여 스펜서의 기능주의 이론에 영향을 미침.

- 분업이 개인 능력의 발전을 도와주는 한편, 사람들이 서로 의존되어 있다는 생각을 갖게 하여 연대감 형성에 기여한다고 믿음. 이는 후에 뒤르켐의 분업이론과 유기적 연대이론에 영향을 미침.

지적/정신적 진보의 3단계

- 신학적 단계:공상적인 정신이 지배하는 사회

- 형이상학적 단계:추상적인 정신이 지배하는 단계

- 과학적 단계:실증적 정신이 지배하는 단계

 

(2) 스펜서(Spencer,1820~1903)와 기능주의

- 영국의 초기 사회학자

- 콩트의 유기체론과 진화론의 영향=>사회진화론

- 기능주의(functionalism):기능주의에서 각 과정, 제도, 관행은 사회적 요구를 충족시키고, 그리하여 사회의 구조나 평형상태를 유지하도록 돕는 것으로 간주됨.

자유방임과 적자생존 이론 제시

- 이익을 추구하는 개인의 자유로운 판단 중시 하고 적자생존의 관점에서 최소한의 정부와 자유방임주의 시장경제를 주장

사회명목론과 사회실재론적 사고의 모순적 공존

- 스펜서는 사회를 개인의 목표를 증진시켜 주는 도구로 파악하여 사회명목론(nominalist)적 사고를 가진 반면, 사회에 대한 생물학적 유추와 유기체론적 관점을 제시하여 사회실재론적 사고를 동시에 가짐.

군사형 사회공업형 사회구분

- 군사형 사회:정부의 중앙집권적 규제와 강제적 협동

- 공업형 사회:개인의 사적 조직의 자율성과 자발적 협동

 

(3) 마르크스(Marx,1818~1883): 역사유물론과 계급투쟁

- 자신의 연구를 유물론적 역사해석또는 역사와 사회에 관한 과학으로 정의

- 정치경제학 비판’: 기존의 아담 스미스, 리카르도의 정치경제학을 비판하며 자신의 연구를 정치경제학 비판이라 정의

■ 『경제학-철학 수고(1844)

- 유적 존재로서의 인간과 노동 소외와 분업 비판

■ 『독일이데올로기(1845)

- 헤겔학파의 관념론적 변증법을 비판하며유물론적 역사해석제시

- 역사에 대한 과학적 이해는 물질적 교류관계의 역사적 형태 변화를 기초로 해야 한다고 주장

■ 『공산당선언(1848)

- “지금까지의 모든 인류의 역사는 계급투쟁의 역사였다.”

■ 『정치경제학 비판』「서문(1859)

- 사회를 경제적·물질적 토대(base)’정치적·이데올로기적 상부구조(superstructure)’로 구성된 사회구성체(social formation)’로 규정하고, 토대가 상부구조의 형태를 규정한다고 정의.

- 토대:생산양식(mode of production)=생산력+생산관계

- 상부구조:국가, 의식, 관념 등

 

(4) 베버(Weber,1864~1920): 합리화와 지배(rationalization & dominance)

문화과학과 합리화

- 사회현상을 자연과학적 방법으로 연구하려는 실증주의에 반대하면서 사회현상의 설명은 객관적인 인과관계를 파악하는 인과적 설명만으로 충분하지 않으며 개인 행위의 동기나 의도에 대한 해석적 이해(understanding)에 기초해 연구해야한다고 주장

- 전통사회에서 현대사회로의 이행을 낳은 중요한 원동력을 합리화’(rationalization)에 있다고 봄

사회학을 사회적 행위를 연구하는 과학이라 봄

- 개인행위의 내면적 동기와 의도를 이해하는 것’ (understanding) 이 중요

사실판단’(fact judgement) 가치판단’(value judgement) 을 구분하고 사회과학자는 학문적 객관성을 위해 가치자유(Wert-freiheitung:value-free) 혹은 가치중립(value neutrality)의 자세를 가져야 한다고 주장.

이념형 (Idealtypus, ideal type):구체적 현상들 가운데서 특징적인 측면만을 부각시킨 순수형태

- 개인의 행위 뿐 아니라 역사적 발전도 이념형으로 분석

마르크스의 역사적 유물론 비판

- 마르크스의 역사유물론은 경제적 요인을 지나치게 강조한 이념형으로 이해해야 한다고 주장. 그리고 역사적 유물론의 한계를 입증하기 위해서프로테스탄트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19031905)에서 역사적 변동에 있어서 종교나 문화의 중요성을 강조.

- 프로테스타트 윤리, 특히 칼뱅주의가 직업에 대한 소명의식을 가지면서 근면과 금욕을 통한 종교적 생활태도와 노동윤리가 자본주의 발전에 기여했다는 것을 입증. , ‘프로테스탄트 종교윤리와 합리적으로 이윤을 추구하려는자본주의 정신사이에 선택적 친화성(elective affinity)가 있어서 유럽 자본주의의 급속한 발전이 가능했다고 봄.

합리화 과정으로서의 역사

- 지배의 합리화 과정:과거의 전통적 지배인카리스마적 지배법적-합리적 지배로 변천하면서 현대국가의 합리화된 조직인 관료제가 발달.

- 종교에서의 탈주술화(disenchantment)를 통해서 다신교에서 일신교로 변화

- 음악에서도 화성법(harmony)와 기보법(music notation)이 발달하여 표준화

합리화의 역설

- 현대사회에서 합리화 과정이 형식합리성의 추구로 나아가면서 실질합리성이 훼손될 수 있다고 봄. , 관료제의 발달이 인간을 수단화하여 인간소외를 가져올 수 있으며 민주주의 발전을 저해할 수 있다고 보고, 정치적으로 신념윤리와 책임윤리를 지닌 합리적인 정치엘리트들에 의해 의회민주주의의 발전이 이루어지기를 기대.

 

(5) 뒤르켐(Durkheim,1858~1917): 분업과 사회통합

- 프랑스의 사회학자이며 교육학자

- 주요저서:사회분업론(1893),자살론(1897)

사회학주의(sociologism)

- 사회학주의:사회학의 연구대상을 개인적 사실이 아니라 사회적 사실’ (social facts)으로 봄.

사회분업론(1893)

- 자신이 살고 있는 사회를 노동분화(division of labor), 즉 분업이 발달한 공업사회(industrial society)’로 규정

- 분업이 미발달한 전통사회에서는 사회적 연대(solidarity)의 성격이 기계적(mechanical’이나, 분업이 발달한 현대사회에서는 '유기적 연대(organic solidarity)'가 이루어진다고 주장.

- 기계적 연대:전통사회는 동질성 또는 유사성을 바탕으로 하여 개성이나 개인적 차이를 인정하지 않으면서 의견이나 신념의 동질성을 강하게 요구한다.

- 유기적 연대:공업화된 사회에서는 분업이 발달하여 노동의 이질성이 강화되고 개인주의를 발달시켜 전통적인 연대가 불가능하지만 사람들은 재화와 서비스를 교환하면서 상호의존성을 인식하게 되어 유기적 연대를 통한 사회통합을 지속해나간다.

- 아노미(anomie):급속한 사회변화 속에서 과거의 사회규범들이 해체되는 반면, 새로운 사회규범이 분명하게 형성되지 않아 일탈행동과 범죄 등의 사회병리 현상과 무질서가 초래된 가치혼란의 상태

- 직업집단과 도덕적 개인주의:현대사회에 있어서 아노미와 비정상적 분업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개인과 국가를 매개할 수 있는 중간집단으로서 노동조합이나 직능단체와 같은 직업집단을 통해서 개인들에게 소속감을 주고 결속을 이루며 개인적 욕구를 대변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연대감의 형성에 직업집단과 같은 제도만으로는 한계가 있으며 개인들을 규제하고 통합시킬 수 있는 규범으로서 도덕적 개인주의를 제시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