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과사회

행동발달에 대한 반두라(A. Bandura)이론의 특징과 장단점

 

행동발달에 대한 반두라(A. Bandura)이론의 특징과 장단점

 

 

글 작성 : 바로코리아(오정삼)

 

 

 <목차>

 1. 서론

 2. 사회적 학습이론의 이론적 배경과 특징

 3. 반두라 사회적 학습이론의 전개와 발전

   3.1. 반두라 이론의 전개과정

   3.2. 보보인형 실험 결과와 해석

   3.3. 관찰학습의 과정별 의미

 4. 반두라 사회적 학습이론의 중요 개념들

 5. 결론 : 장단점을 중심으로

 

 

 

 

1. 서론

 

행동발달에 대한 반두라(A. Bandura)이론은 사회학습이론이라 할 수 있는 데 사회학습이론은 행동주의 학습이론과 인지학습이론을 결합한 형태의 행동발달이론이라 할 수 있다. 이는 인간이 어떤 행동을 학습하는 데 있어서 외부로부터의 자극뿐 만 아니라 인간 내부의 인지적 요인이 함께 작용하여 학습이 진행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사회학습이론은 행동주의 이론보다는 인지주의 학습이론에 더욱 접근해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사회학습이론에 따르면 인간의 학습은 다른 사람과의 사회적 관계에 의해서 이루어진다고 정의되어질 수 있다.

이는 인간의 학습에 대한 행동주의 학습이론에 대한 문제제기로부터 시작되었다고 볼 수 있는데 반두라의 행동주의에 대한 문제의식은 다음과 같은 문제제기로부터 시작된다고 할 수 있다.

첫째, 행동주의 학습이론은 관찰추적이 어렵다는 이유로 인간의 학습과정에 대한 연구에서 정신기능이 경시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이다.

둘째, 인간행동은 복잡한 사회적 인간관계를 통해서 형성되고 변화되어가는 것인데 행동주의 학습이론에서처럼 단순한 동물실험의 결과를 인간행동에 일반화 시키는 것이 타당한 것인가에 대한 문제제기를 한다.

셋째, 또한 인간은 환경에 대해서 수동적 순응 뿐만 아니라 유기체 자신의 적극적인 선택과 수용에 의해서 행동을 변화시킨다는 것이다.

따라서 반두라에 의하면, 인간은 어떤 식으로 행위하느냐에 따라서 환경에 영향을 미치며, 이렇게 변화된 환경은 다시 자신의 후속행동에 영향을 미치게 되기 때문에 행동, 인간, 그리고 환경의 세 요소는 교호작용을 한다는 것이다[각주:1].

 

 

2. 사회적 학습이론의 이론적 배경과 특징

 

사회적 학습이론의 이론적 배경과 특징을 살펴보기 위해서는 고전적 행동주의 이론과의 차이점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우선 고전적 행동주의 이론에서는 인간행동 형성의 주요인을 외적 자극에서 찾고 있다. 즉 인간의 행동은 자극(stimulus)에 대한 반응(response)로 나타나는 것으로서 외적 자극은 인간 행동의 선행적 결정인자라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인간행동의 원인은 인간 내부에서 찾을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우리 외부의 바깥세상에서 찾고자 하는 것이다. 따라서 한 개인이 공격적인 성향을 보이는 것은 그 내부에 공격적인 성향이 있어서가 아니라 외부 환경에 공격적인 행동을 유발하는 요인이 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이에 반하여 사회적 학습이론에서는 인간행동의 발달과 학습과정은 단순한 외적 자극에 의해서만이 아니라 유기체의 인지와 조절능력을 통해서 내부의 반응양식이 작용을 하고 이러한 반응양식은 유기체의 내면적 특성으로 작용하여 외적 자극을 매개함으로써 동일한 외부적 자극에 대해서 유기체의 반응양식에 따라서 반응행동이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사회적 학습이론에 의하면 외적 자극 유기체의 행동에 후행결정 인자로 작용할 수도 있을 뿐만 아니라 유기체는 자신의 행동 이후에 나타나는 보상(후속 자극)에 대한 평가를 통해서 그 후속자극의 보상과 처벌 여하에 따라서 선택적인 학습을 진행한다는 것이다. 또한 인간은 사회적 관계에서 자신의 학습의 내용을 결정해나가기 때문에 직접 행동을 하지 않고도 사회적 관계 속에서 간접적인 경험을 통해서도 학습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따라서 사회학습이론은 관찰학습 또는 모델링(modeling)이라고도 하며, 이러한 관찰학습은 주의 집중파지(기억)행동 재생동기 유발의 과정을 수반하며 관찰자의 내적인 인지적 통제에 의해 어떤 행동의 학습이 일어난다. 따라서 학습이란 학습자 스스로 자신의 행동을 통제하는 자기 규제의 과정이라 볼 수 있다[각주:2].

 

 

3. 반두라 사회적 학습이론의 전개와 발전

 

3.1. 반두라 이론의 전개과정

반두라는 사회적 학습이론을 전개하면서 기존의 학습개념을 확장하였다. 즉 기존의 학습의 개념은 전통적인 행동주의에 의하면 강화에 의한 학습을 강조하였고, 또다른 사회적 학습이론을 전개한 로터의 기대에 의한 학습의 효과에 더하여 간접적인 경험에 의한 학습의 과정을 인정하였다. 즉 반두라는 유기체의 학습에 있어서 사회적 요인을 강조하여 인간의 사고나 단순한 외적인 조건뿐만 아니라 소속 사회의 전통이나 문화 또한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주장하였다. 또한 반두라는 인간의 행동발달에 있어서 주체적 역할을 강조하여 인간이 사회적 인지를 지닌 존재이며, 따라서 인간은 자신이 처해있는 사회적 환경에 대해서 주체적으로 대응하고 이러한 주체적 인지적 사고가 자신의 행위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그리고 반두라는 이러한 자신의 이론을 뒷받침하기 위하여 사회적 학습이론에 대한 주요한 실험을 전개하였는데 이 실험을 통해서 인간이 사회적 모방을 통해서 자신의 행동의 변화를 가져온다는 것을 증명하고자 하였다.

 

3.2. 보보인형실험 결과와 해석

반두라는 자신의 사회적 학습이론을 검증하기 위하여 보보인형실험을 하였다. 이 실험의 과정에서 반두라는 33명의 어린이를 A, B, C 세 집단으로 분류한 뒤 이들 세 집단의 어린이들에게 보보인형(플라스틱 인형)을 괴롭히는 영상을 보여주면서, A집단에게는 보보인형을 괴롭히는 행동이 칭찬을 받는 장면을 보여주고, B집단에게는 보보인형을 괴롭히는 행동이 벌을 받는 장면을 보여주고, C집단에게는 아무런 장면도 보여주지 않았다. 이후 각각 다른 방에 세 집단의 아이들을 데려간 후 그들의 행동을 관찰하면서 주어진 영상에 나타난 장명을 모방한 아이들에게 보상을 주거나, 아무런 보상을 주지 않았다.

그리고 반두라는 이러한 보보인형 실험의 결과 실험에 참가한 어린이들이 상당한 정도의 수준으로 영화의 장면을 모방한다는 것과, 그들의 모방행동에 대해서 보상을 주었을 때 모방의 가능성이 더욱 높아진다는 것과 보상이 주어지지 않았을 때는 모방의 확률이 낮아진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실험의 결과 반두라는 아이들 행동에 있어서 모방의 가능성을 높이는 요인으로서 첫째, 모델이 갖고 있는 고유의 특성을 들었다. 즉 아이들의 모방 행동의 가능성을 높이는 요인은 모델이 자신과 유사할수록 또한 모델에 대한 정서적 유대가 강할수록 모방의 가능성이 높아지는 것을 확인했다. 둘째, 학습에 참여한 학습자 자신의 특성에 기인하는 요소가 크다는 것을 확인했는데 특히 자존심이나 자신감이 낮은 학습자일수록 모방의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셋째, 대부분의 학습자의 경우 정적인 강화를 통해서 보상이 이루어질 때 모방의 가능성이 더욱 높아진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3.3. 관찰학습의 과정별 의미

반두라의 사회학습이론은 관찰학습 또는 모델링(modeling)이라고도 하는데, 이러한 관찰학습의 과정을 단계별로 나누어보자면 네가지 단계로 분류할 수 있다.

첫째, ‘주의과정이다 주의과정이란 실험참가자가 자신이 모방할 대상을 주목하는 단계로서 이때 관찰자극의 특성을 결정짓는 요인으로는 대상자의 특성과 학습자의 특성의 일치 정도와 학습자의 정서적 가치와의 일치여부, 그리고 학습자에게 유익한 결과의 여부 등이 영향을 미치는 것이다. 그리고 이 단계에서 관찰자의 특성을 결정짓는 요인은 관찰자의 대상파악 능력과 각성수준, 그리고 관찰자의 과거의 강화 경험이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라 할 수 있다.

둘째, ‘파지과정이다. 파지의 과정이란 관찰자가 모방할 행동의 내용을 기억하고 유지하는 과정을 의미하며 이는 관찰자가 관찰 행동을 재생할 수 있는 언어나 기호로 기억, 회상하는 능력에 의해서 진행되어지는 것이다.

셋째, ‘재현과정’(=행동재생)의 단계이다. 재현과정이란 학습자가 모방하고자 하는 대상의 행동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과정으로서 학습자의 재현 능력과 정교화 능력에 의해서 영향을 받게 된다.

넷째, ‘동기과정의 단계이다. 동기과정이란 학습자가 관찰과 모방을 통해서 습득한 행동이 자신의 실제환경과 상황에서 수행하고자 하는 동기화 과정이다. 이 단계는 학습자의 행동에 대한 직접적인 보상과 대리강화, 그리고 학습자가 습득한 행동을 직접해보고 싶어하는 자기 욕구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행위과정이라 할 수 있다.

 

 

4. 반두라 사회적 학습이론의 중요 개념들

 

이상 반두라의 사회적 학습이론에는 그의 실험전개와 결과를 뒷받침하는 중요한 몇가지 개념들이 존재하는 데 이러한 개념들은 반두라 이론들을 이해하고 분석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는 개념들이다.

우선 첫째로 반두라는 자기조절을 강조하였다. 즉 학습자는 자기조절을 통해서 외적 환경으로부터 들어온 자극을 수동적으로 반응하는 것이 아니라 자기 자신의 내적 표준에 의거하여 분석판단하고 이에 대한 능동적이고 적절한 대응방식을 모색하는 능력을 지녔다는 것이다. 이는 학습자가 자신의 성격에 따라 내적표준을 발달시키고 이에 의해서 자신의 행동을 수정하고 판단하는 자기반응의 행동을 보인다는 것이다.

또한 반두라는 자기효능이라는 개념을 선보였는데 이는 유기체가 어떤 행동을 하고자 할 때 이 행동의 성공여부에 대한 신념이 인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의미하는 것이다. 그에 따르면 자기효능이 인간의 행동에 미치는 가장 중요한 요소는 인간이 행동수행의 여부를 결정하게 해주고 나아가 행동의 지속성에 영향을 미친다. 그리고 나아가서 자신의 행동에 따르는 처벌을 감내하는 수준 등을 결정한다는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자기효능의 형성요인에는 학습자의 성취경험과 대리경험, 주위 사람들로부터의 언어적 격려, 그리고 학습자 본인의 정서적 각성 등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반두라는 이러한 주장에 근거하여 개인의 성격발달 이론을 전개하였는데 그의 주장에 의하면 개인의 성격은 발달하는 것이 아니라 학습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개인의 성격을 형성하는 기제에는 관찰학습, 대리강화, 자기조절, 자기효능 등이 있다. 그리고 개인별 성격에 차이를 가져오는 요인에는 개인이 사회적인 환경 속에서 겪은 경험의 차이와 이러한 경험을 받아들이는 각 개인의 심리적인지적 능력의 차이가 작용한다고 하였다.

 

 

5. 결론 : 장단점을 중심으로

 

지금까지 반두라의 사회적 학습이론의 전개와 과정을 살펴보았다. 결론적으로 말해서 반두라는 고전적 행동주의이론과 달리 인간의 행동발달과 학습의 과정은 단순한 외적 자극에 의한 요인뿐만 아니라 학습자 자신의 내적 특성이 주요한 인자로 작용한다는 것과 행동이 직접적 경험을 통해서만이 아니라 간접적 사회적 경험을 통해서도 가능하다고 주장[각주:3]한 것에서 가장 큰 장점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 반두라 이론에서는 인간행동의 학습과정을 단순히 외적 자극에 두지 않음으로서 유기체 내부의 반응양식을 더욱 세심하게 관찰하고, 유기체의 내면적 특성을 고려하여 학습의 조건을 밝힘으로서 인간의 주관적 인지 능력을 평가 분석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는 반두라의 이론이 인간행동과 인지, 그리고 환경적 요인이 일방적으로 한가지 행동을 좌우하지 않고 상호작용하는 관계임을 밝힌 것이다. 즉 사람(인지)과 행동, 그리고 환경의 삼원적 요인이 상호결정적 관계에 놓여있다는 삼원적 상호결정론 모델을 제시하면서, 학습이란 학습자 스스로 자신의 행동을 통제할 수 있는 자기 규제의 과정이라 볼 수 있으며 단계이론과 달리 인간의 행동발달이 인간 내적요인과 환경적 외적요인의 상호작용에 의한다는 것을 밝힘으로써 사회적 인지를 지닌 존재로서 인간의 환경에 대한 주체적 역할을 강조한 데서 그 가치를 높이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반두라는 유기체 내부의 내적반응을 강조하면서 개인별 성격 차이요인으로 경험의 차이와 각개인인 경험을 받아들이는 심리적인지적 능력의 차이를 강조하였다. 이에 대해서 반두라는 개인의 성격이 발달하는 것이 아니라 단순히 학습되는 것으로 간주하여, 성격 발달의 보편적인 과정과 단계를 거부하였다. 이는 개인의 성격 발달이 개인적인 특성만 가지고 있는 것이 아니라, 발달의 보편적 과정이 존재한다는 것을 간과하고 성격발달의 각 단계별 상호 영향과 특징을 무시함으로서 지나친 개별화의 한계를 보여주고 있다고 생각되어진다.

그러나 반두라 이론의 이와 같은 부분적 한계에도 불구하고, 반두라는 인간행동의 주체성을 강조하여 인간이 환경에 순응만 하지 않고 환경에 대한 적극적인 수용의 과정과 다양한 인간관계 내부에서의 능동적 변화를 통해서 발달을 이루어낸다는 것을 밝힘으로서 인간행동의 사회적 성격을 밝히고 유기체로서 인간의 주체적 가치를 높였다는 데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참고자료>

 

[1] 반두라, 자기효능감과 인간행동, 교육과학사, 1999

[2] 송석재, “반두라(Bandura)의 도덕발달 이론에 관한 연구”, 도덕교육학연구3, pp.85-109, 2002

 


 

  1. 조화태 외 공저, 『교육의 이해』, 한국방송통신대학출판부, p.161, 2013 [본문으로]
  2. Ibid, p.161 [본문으로]
  3. 이성진․박성수, 『교육심리학』, 한국방송통신대학출판부, p.115, 2008 [본문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