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의 자원봉사활동의 발전과정과 특징을 통해 본 우리나라의 자원봉사활동의 방향과 과제
글 작성 : 바로코리아(오정삼)
<목차> 1. 영국의 자원봉사활동의 역사적 발전과정 2. 영국의 자원봉사활동의 특징과 현황 3. 우리나라의 자원봉사활동의 현황과 문제점 4. 문제해결을 위한 방향과 향후과제 |
1. 영국의 자원봉사활동의 역사적 발전과정
영국의 자원봉사활동의 역사적 발전과정은 영국 사회의 사회복지제도의 변천과정과 궤를 같이하고 있다. 즉 영국 사회에서는 중상주의 시대에 이르러서 국가가 국민의 복지에 대한 책임을 어느 정도 인정하기 시작하면서 상층사회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적 지원활동이 전개되기 시작하였고, 이러한 부유층의 자선활동이 지역사회 단위로 조직화하면서 자선조직을 위한 활동들이 본격화하기 시작했다. 1
1.1. 영국의 자선조직화운동(COM)
영국에서는 부유층 중심의 자선활동이 지역단위로 조직화하기 시작하면서 이에 대하여 보다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활동을 도모하고자 자선조직협회(Charity Organization Society)가 1869년에 창립되었고 이는 영국의 자선조직화운동체 대한 최초의 추진체로서의 역할을 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이러한 운동은 나름대로 한계를 지니고 있어서 복지대상자들의 빈곤의 주요원인이 개인적 속성의 나태함으로 인식되는 수준이었다. 따라서 오히려 자선을 구할 자격이 없는 사람으로 분류가 될 경우 도덕적 교화의 대상이 되기도 하였다. 이를 위해서 우호방문원(friendly visitors)들이 각 가정을 방문하여 빈곤의 원인을 파악하고 교화활동을 수행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자선조직협회의 활동은 향후 미국 등 각국에 전파되어 지역사회조직의 전문화와 사회복지사의 출현에 단초가 되기도 한다.
1.2. 영국의 인보운동(Settlement Movement)
영국의 인보운동은 1884년 Barnett에 의해 런던에 설립된 최초의 인보관(residential settlement)인 토인비홀(Toynbee Hall)에서 출발한다. 2이 운동은 주로 대학교육을 받은 청년층들을 중심으로 빈민지역에 거주하면서 다양한 빈민활동을 전개하였고 또한 활동가와 빈민들이 상호학습을 통해서 빈곤의 원인을 사회구조적인 문제로 파악하며 사회개혁의 운동으로까지 발전하였다. 또한 이후 토인비 홀을 모델로 하여 19세기 말에 이르러서는 30개의 주거형 인보관이 만들어지고 Attlee, Beveridge, Jane Addams 등과 같은 많은 젊은이들이 사회개혁적인 활동에 뛰어드는 계기가 되었다.
1.3. 영국의 사회보장제도의 확립과 발전
1941년에 이르러서 영국 정부는 사회복지 제도의 정비를 위하여 베버리지를 위원장으로 하는 ‘사회보험 및 그 관련사업에 관한 조사위원회’를 조직하여 영국사회 전반에 대한 조사를 시작하였고, 베버리지 보고서(Beveridge Report) 3를 기반으로 영국 사회보장제도의 기본 원칙이 되는 동일한 금액의 생계 급여와 적용범위의 포괄성을 담은 사회보장제도의 취지를 확립하였다. 이는 전 국민에게 최저한의 소득을 보장해주기 위한 사회보장제도의 취지를 충족하는 계기가 되었으며 나아가 정부차원에서의 노력만이 아닌 개인의 자발적인 노력의 필요성을 강조함으로써 이후 영국사회의 복지국가로서의 성숙을 위한 단초를 마련하였다.
그리고 마침내 1960년에 자원봉사활동의 제도적 근거가 되는 자선법(Charity Act)이 제정되고, 당시 영국사회가 안고 있었던 각종 청소년문제, 실업문제 등을 해결하기 위한 돌파구로서 자원봉사활동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기 시작하였다. 또한 1968년에는 아베스 보고서(Aves Report)를 통해서 전문적인 사회서비스의 제공을 위한 자원봉사자의 활동 강화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전국적인 자원봉사센터 네트워크의 구축이 이루어지기 시작하였다.
1.4. 보수당의 집권과 복지다원주의의 확대
1970년 대 중반 이후에 들어서면서 영국사회는 오일쇼크와 국내 경제문제 등으로 인하여 공공지출에 대한 지원이 삭감되기 시작하고, 또 일부 전문화된 자원봉사활동가들의 관료화 등에 의하여 자원봉사활동에 있어서 위기를 맞이하게 된다.
그러나 1979년 보수당 정권의 집권 이후 정부는 자원봉사활동의 육성과 발전을 강조하면서 1992년 자선법을 개정하고 세금공제 등을 통해서 자원봉사활동의 진흥을 위한 제도적 정비를 다시 시도하기 시작하였다. 또한 보수당 정권은 실업문제의 해결과 자원봉사활동을 적절히 연계시킴으로써 기업 및 개인과 민간단체들의 참여를 촉진하고 복지다원주의를 위한 시민의 정치적 합의를 이끌어내었다.
2. 영국의 자원봉사활동의 특징과 현황
2.1. 영국의 자원봉사활동의 일반적 특징
영국의 사회보장제도는 1970년대 중반 이후 종사자들의 정치적 의식의 급격한 성장과 더불어 사회복지실천 활동이 지역사회개발의 전통과 함께 지역사회를 단순한 사회적 단위로 뿐만 아니라 정치적 단위로 보면서 포괄적인 지역사회사업의 발전에 주목하고 있다. 또한 정부는 국가의 책임을 바탕으로 한 국민생활의 불평등 문제를 해결하고 최저생활을 보장하는 방향으로의 정책적 실천을 수행하면서, 역사적 전통에 기반한 종합적 사례관리의 방식을 통해서 민간부문의 역할 확대 및 지역사회활동에서의 지방자치제도의 역할의 주도성을 강조하고 있다. 따라서 이를 토대로 정부와 민간부문의 원활한 협력관계 하에 지방자치제도를 중심으로 자원봉사활동을 적극 지원하고 다양한 지원활동 체계를 통해서 자원봉사활동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는 민간부문의 자발적인 봉사지원활동을 국가가 정책적으로 보장함으로써 더욱 활발한 민간부문의 정책참여를 유도하는 효과를 수반하고 있다.
2.2. 영국의 자원봉사활동의 현황과 정책적 관리
영국은 현재 전 세계의 어느 국가보다도 활발하게 자원봉사활동이 전개되고 있는 국가이다. 앞서 말했듯이 자선조직협회와 인보관운동 등을 통해서 사회․정신적 토대가 잘 이루어져 왔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다수의 주민들이 적극적으로 지역자원봉사활동에 자발적으로 참여하고 있으며 공식적인 자원봉사활동 인구만 하더라도 18세 이상 인구의 51% 이상이 매년 1회 이상의 자원활동에 참여한다고 한다. 4
뿐만 아니라 국가의 활발한 정책적 지원에 힘입어 각 기업과 직장인들의 자원봉사활동에의 참여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즉 영국정부는 기업과 직장인들의 자원봉사활동 참여에 각종 세제 및 지원 혜택을 주고 있는 데, 이를 통해서 지역사회와 기업, 그리고 지역주민간의 연대적 정서가 더욱 강화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사회 전체적으로 봉사의식의 저변이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자원봉사활동의 지원에는 전국적으로 300여 개에 달하는 ‘자원봉사활동안내소’의 역할이 크게 작용하고 있는데 이는 지역주민과 소통하면서 지역봉사활동의 원활한 수행을 전개하는데 매우 효율적인 토대로 작용하고 있다.
또한 영국 정부는 현재 전국자원봉사협의회(NACVS : the National Association of Councils for Voluntary Service) 5에 많은 재정적 지원을 통해서 전국적인 네트워크의 구축과 자원봉사자 모집, 훈련을 통해서 풀뿌리 민주주의에 의한 자선활동과 봉사활동을 적극 후원하고 있다.
영국에서는 이와 같은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차원의 전폭적인 자원봉사활동의 지원에 힘입어 자원봉사활동이 단순한 사회복지 차원의 활동에 그치지 않고 사회․문화 전반에 걸친 주민활동으로 전개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호응하여 각 기업들도 기업의 사회적 공헌에 대한 책무를 인정하고 자원봉사자들에 대한 휴직 및 휴가제도 등을 도입하여 더욱 적극적으로 사회봉사활동을 뒷받침하고 있다. 즉 전국의 민간 자원봉사단체 들이 지방정부의 재정적 지원 하에 복지 및 환경, 시민생활 등 거의 모든 분야에 걸쳐서 자원봉사자들을 모집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예산의 지원을 대폭 늘림으로서 자원봉사활동에 대한 시민들의 참여를 유도하고 있는 것이다.
3. 우리나라의 자원봉사활동의 현황과 문제점
3.1. 우리나라 자원봉사활동의 전개과정
우리나라의 경우 현대적인 의미에서의 자원봉사활동이 본격적으로 전개되기 시작한 것은 1903년 YMCA의 창립, 그리고 1921년 우리나라 최초의 인보관인 태화기독교사회관 6의 설립과 함께 전개된 인보사업에 있다고 할 것이다. 이후 해방과 더불어 산발적으로 전개되기 시작하던 자원봉사활동들은 1960년대 적십자운동이 전개되면서 보다 조직적으로 수행되기 시작했다. 그리고 1978년에 이르러서는 비로소 한국사회복지협의회가 설립되어 자원봉사자들에 대한 교육․훈련을 전개하고 이후 각종 사회복지단체를 중심으로 활발한 자원봉사활동이 전개되었으며, 1986년 아시안게임과 1988년 서울올림픽을 위한 국가적 차원의 자원봉사활동의 조직은 자원봉사활동의 대중적 인식을 보편화하는 데 크게 기여하였다.
그리고 마침내 1991년에 이르러서 한국자원봉사연합회가 창립총회를 가짐으로서 전국 최초의 민간차원의 자원봉사단체가 설립되고, 1994년에는 한국자원봉사단체협의회가 조직되기에 이르렀다. 이후 정부차원에서도 1994년 공익자원봉사진흥법을 제정하여 민간 차원의 자원봉사활동에 대한 제도적 기반을 구축하였다. 7
3.2. 저조한 자원봉사활동 참여자 수준
현재 우리나라는 여전히 다른 여러 나라에 비해서 매우 저조한 자원봉사 활동자 수를 기록하고 있다. 그리고 자원봉사 활동자 수의 부족 못지않게 중요한 사실은 대부분의 봉사활동이 일회적이고 사건 중심적이라는 것이다. 예를 들어서 2007년 국내 사상 최악의 기름 유출사고 가난 태안 앞바다의 서해안 원유 유출사고 시 자원봉사자들의 참여 숫자는 123만 명에 이르고 8 복구 속도는 세계 여러 나라의 사람들을 놀라게 할 수준이었지만, 이들 자원봉사자들의 활동의 지속적으로 관리하고 재조직하는 데 있어서는 여전히 체계적이지 못한 것이 현실이다. 이는 자원봉사활동의 사회적 전통이 빈약한 데서부터 시작하여 부족한 인력과 재원에 의한 체계적이지 못한 자원봉사 업무의 추진과 자원봉사활동 관리체계에 대한 정책적 지원의 한계 등이 원인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아직까지 자원봉사활동에 대한 사회적 인식의 부족으로 인한 지속가능성을 담보하지 못하는 자원봉사활동은 향후 우리나라 자원봉사활동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 있어서 특히 염두에 두어야 할 과제라 할 것이다.
4. 문제해결을 위한 방향과 향후과제
이상의 논의에서 드러난 우리나라의 자원봉사활동의 문제점과 그 해결을 위한 방향을 설정함에 있어서 중점을 두어야 할 과제는 자원봉사 참여자의 자원활동에의 참여 동기를 제공하고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자원봉사활동 프로그램의 확충, 그리고 국가 차원에서의 제도의 재정비가 시급하다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 우리 정부에서도 최근에 자원봉사활동을 보다 체계적으로 통합․관리하고자 하는 정책적 노력들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개정된 ‘자원봉사활동기본법’ 9이 2014년 공포․시행되어 정부와 민간 공동의 협력을 통한 역할을 규정하고 매 5년마다 자원봉사를 위한 국가기본계획을 수립하여 가고 있다.
따라서 자원봉사활동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중앙 정부적 차원의 정책적 노력에 곁들여서 지방자치제에서도 자원봉사활동의 진흥을 위한 인적자원의 개발과 육성․관리에 공을 들여야 하며, 이러한 지방자치제별 체계적인 계획의 수립을 통해서 비로소 향후 각 지방별 특성에 맞는 핵심중점과제를 개발하고 지역주민들의 자발적인 참여를 통한 풀뿌리 자원봉사활동이 뿌리내릴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서는 지역의 실정에 맞게 각 지방자치별 자원봉사자 교육프로그램의 개발과 운영이 필요하며 자원봉사활동을 위한 지역센터에서는 자원봉사활동의 인적 자원의 지역적 기반을 넓히기 위해서 지역사회에 대한 공헌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기업과도 연계하여 직장동료나 가족이 함께 할 수 있는 자원봉사활동 계획을 확충하여야 한다. 더불어 자원봉사관리자의 전문성을 높이고 지도력을 개발하여 이미 진행된 봉사활동에 대한 충실한 가치평가와 성과 계승을 통해서 지속가능한 자원봉사활동의 사회적 기반을 넓혀가야 할 것이다.
<참고자료>
[1] 류기형 외 4명, 『자원봉사론』, 양서원, 2013
[2] 김정기․백종만․김찬우, 『지역사회복지론』, 도서출판 나남, 2009
[3]「자원봉사활동 기본법」, 국가법령정보센터, (2014.11.19.)
http://www.law.go.kr/lsInfoP.do?lsiSeq=162191&efYd=20141119#0000
[4] 박정란, “자원봉사 참여자 활동만족도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학위논문(석사), 2014
[5] 이근홍, “자원봉사활동기본법의 과제와 자원봉사활동 연계방안”,『사회복지학연구』 제12호 pp.92-109, 2005
[6] National Association for Voluntary and Community Action(NAVCA)
[7] "자원봉사활동의 역사", 더나은복지세상(2006.09.13.)
http://cafe.naver.com/social86/13875
[8] “태안기름 유출 6년, 보상은 언제나”, 한국일보, 이준호기자(2013.12.06.)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38&aid=0002448292
- 김정기․백종만․김찬우, 『지역사회복지론』, 도서출판 나남, 2009 [본문으로]
- Ibid. [본문으로]
- 「베버리지 보고서」는 5개의 사회악으로 궁핍, 질병, 무지, 불결, 나태를 들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사회보장보험이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본문으로]
- 이해주․곽삼근․최윤진 『자원봉사론』, 방송대출판부, 2011 [본문으로]
- NACVS (the National Association of Councils for Voluntary Service)는 지역사회에 기반하고 지역민과 함께 하는 자원봉사활동이며, 풀뿌리 민주주의에 기반하는 조직이다. 이는 영국 전역에 걸쳐서 350 개의 지역 네트워크를 가지고 있다. (원문)NAVCA believes voluntary and community action offers solutions to the challenges we face. Action rooted in communities brings local people together to campaign, volunteer and provide services. Uniquely, NAVCA is a national membership organisation with a grassroots view. Our membership network of over 350 local support and development charities keeps us in touch with the views of local charities and community groups from across the whole of England. http://www.navca.org.uk/ [본문으로]
- "자원봉사활동의 역사", 더나은복지세상(2006.09.13.) http://cafe.naver.com/social86/13875 [본문으로]
- 류기형 외 4명, 『자원봉사론』, 양서원, 2013 [본문으로]
- “태안기름 유출 6년, 보상은 언제나”, 한국일보, 이준호기자(2013.12.06.)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38&aid=0002448292 [본문으로]
- 「자원봉사활동 기본법」, 국가법령정보센터, (2014.11.19.) http://www.law.go.kr/lsInfoP.do?lsiSeq=162191&efYd=20141119#0000 [본문으로]
'교육과사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책소개], 『노근리 다리』 (0) | 2015.06.01 |
---|---|
[책소개],『다른 게 나쁜 건 아니잖아요』 (0) | 2015.05.23 |
개인정보의 피해 사례와 ‘잊혀질 권리’의 실현 가능성을 위한 방안 (0) | 2014.11.17 |
지역사회복지실천 모델 비교분석 (2) | 2014.11.17 |
행동발달에 대한 반두라(A. Bandura)이론의 특징과 장단점 (0) | 2014.11.14 |